[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4. Ending a Texinfo File

The end of a Texinfo file should include the commands that create indices and generate detailed and summary tables of contents. And it must include the @bye command that marks the last line processed by TeX.

For example:

 
@node    Concept Index,     , Variables Index, Top
@c        node-name,    next, previous,        up
@unnumbered Concept Index

@printindex cp

@contents
@bye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4.1 Index Menus and Printing an Index

색인을 인쇄하는 것은 매뉴얼이나 Info 화일의 일부로 포함하는 것을 뜻한다. Texinfo 화일에서 @cindex나 그 외 색인항목을 만드는 명령을 사용했다고 자동으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 명령들은 단지 색인의 자료를 축적시킬 뿐이다. 색인을 만드려면, @printindex 명령을 색인이 나타나게 하고 싶은 위치에 쓴다. 또, 인쇄된 매뉴얼을 만드는 작업의 일부로, texindex(see section Format and Print Hardcopy)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한다. 정렬된 색인 화일이 실제로 색인을 인쇄하는 데 사용된다.

Texinfo는 미리 정의된 여섯가지 다른 타입을 제공한다: concept index, function index, variable index, keystroke index, program index, 그리고 data type index 이다. (see section Predefined Indices). 각각의 색인 타입은 두 글자의 이름을 갖고 있다: ‘cp’, ‘fn’, ‘vr’, ‘ky’, ‘pg’, 그리고 ‘tp’이다. 색인들을 하나로 합치거나, 이것들을 다른 부류로 넣을 수도 있다 (see section Combining Indices): 또는 자신만의 색인을 정의할 수도 있다. (see section Defining New Indices).

@printindex 명령은 두 글자의 색인 이름을 받고, 해당되는 정렬된 색인 화일을 읽고, 이걸 적절히 색인으로 format한다.

@printindex 명령은 색인에 대해서 그 장의 머리글을 쓰지 않는다. 그래서, @printindex 명령을 적절한 절이나 장 명령 (보통 @unnumbered) 다음에 놓아서, 머리글을 만들고, 색인을 목차에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node Variable Index, Concept Index, Function Index, Top
@comment    node-name,         next,       previous, up
@unnumbered Variable Index

@printindex vr
@node     Concept Index,     , Variable Index, Top
@comment      node-name, next,       previous, up
@unnumbered Concept Index

@printindex cp
@summarycontents
@contents
@bye

(읽는 이는 보통 concept index가 책의 맨 마지막에 오는 것을 좋아한다. 왜냐하면 가장 찾기 쉽기 때문이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4.2 Generating a Table of Contents

@chapter, @section, 그리고 그 외 구조와 관련된 명령은 목차를 만들어 내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실제로 목차가 매뉴얼에 나타나게 하지는 않는다. 나타나게 하려면, @contents@summarycontents를 사용해야 한다:

@contents

인쇄된 매뉴얼에서 부록이나 번호가 붙지 않은 것은 물론 장, 절, 관, 그외 목차를 만든다. (@heading 시리즈의 명령으로 만들어진 heading은 목차에 나타나지 않는다.) @contents 명령은 한줄에 단독으로 쓰여져야 한다.

@shortcontents
@summarycontents

(@summarycontents@shortcontents와 동의어다; 두 명령은 완전히 동일하다.)

장(그리고 부록과 번호가 붙지 않은 장)만을 나열하는 목차의 요약을 만든다. 절, 관, 그리고 subsubsection은 생략한다. 긴 매뉴얼만이 완전한 목차에 추가해서 목차 요약이 필요하다.

@shortcontents 명령을 @contents 명령 바로 앞에 한줄에 단독으로 쓴다.

목차 명령은 자동으로 목차 페이지의 첫번째 표 위에 장과 같은 머리글을 만든다. 목차 명령을 Texinfo 화일의 맨 끝에 @bye 명령 바로 앞에, 색인 뒤에 쓴다—목차 명령 뒤에 쓰여진 어떤 것도 목차에서 생략될 것이다.

여기 목차 명령을 쓰는 위치에 대한 예가 있다:

 
indices…
@shortcontents
@contents
@bye

Info 화일은 목차 대신에 menu를 이용하기 때문에, Info formatting 명령은 @contents@shortcontents를 무시한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4.3 @bye File Ending

@bye 명령은 TeX이나 Info formatting을 중단시킨다. formatting 명령은 @bye 다음에 나오는 화일의 어떤 것도 보지 않을 것이다. @bye 명령은 한 줄에 단독으로 쓰여져야 한다.

원한다면, @bye 줄 다음에 주를 달아도 좋다. 이 주는 format되지 않을 것이고, Info 화일이나 인쇄된 매뉴얼에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마치 @bye 다음의 글들이 @ignore@end ignore 사이에 있는 것과 같다. 또 @bye 줄 다음에 local variable list를 쓸 수 있다. 더 자세한 정보는 See section Using Local Variables and The Compile Command.


[ << ] [ >> ]           [Top] [Contents] [Index]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July 17, 2016 using texi2html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