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chapter structuring 명령은 한개의 문서를 chapter, section, subsection, 그리고 subsubsection들의 계층으로 나눈다. 이 명령들은 큰 heading을 만들어 낸다; 또 인쇄된 매뉴얼의 목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see section Generating a Table of Contents).
chapter structuring 명령은 Info node 구조를 만들지 않는다. 그래서 보통
각 chapter structuring 명령 바로 앞에 @node
명령을 써야 한다
(see section Nodes). node structuring 명령 없이 chapter structuring 명령을
쓸 때는 Info 형식으로 변환되지 않고, 상호 참조가 없는 문서를 작성할때
뿐이다.
인쇄된 문서가 아니라 Info 화일만 의도한 Texinfo 화일을 작성할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만약 그렇게 한다고 해도, 각 node의 앞에 heading을 만들기 위해 chapter structuring 명령을 쓸 수 있다—하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한개의 Texinfo 파일은 보통 chapter, section, subsection과 같은 것으로 구성된 책과 같이 구조가 짜여진다. 이 구조는 맨위에 root가 있고, chapter, section, subsection, 그리고 subsubsection에 해당하는 level로 된 tree로 (혹은 뒤집어진 tree로) visualize할 수 있다.
여기 각각 두개씩의 section이 있는 세개의 chapter로 구성된 Texinfo 파일을 보여주는 diagram이 있다.
Top | ------------------------------------- | | | Chapter 1 Chapter 2 Chapter 3 | | | -------- -------- -------- | | | | | | Section Section Section Section Section Section 1.1 1.2 2.1 2.2 3.1 3.2 |
이러한 구조를 갖는 Texinfo 파일에서, Chapter 2의 시작부분은 다음과 같다;
@node Chapter 2, Chapter 3, Chapter 1, top @chapter Chapter 2 |
chapter 구조 명령은 다음 section에서 설명한다; @node
와
@menu
명령은 다음 chapter에서 설명한다. (See section Nodes, and see
Menus.)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chapter 구조 명령은 4개의 그룹 혹은 시리즈로 분류되고, 각각은 chapter, section, subsection, 그리고 subsubsection의 계층적 단계에 해당하는 구조 명령이 있다.
이 네개의 그룹은 @chapter
시리즈, @unnumbered
시리즈,
@appendix
시리즈, 그리고 @heading
시리즈이다.
각 명령은 인쇄된 페이지 혹은 Info 파일에서 다른 모양의 제목을 만든다; 이중 몇개의 명령만이 인쇄된 책 혹은 매뉴얼의 목차에 열거된다.
@chapter
와 @appendix
시리즈 명령은 인쇄물의 body와 그
목차에서 번호가 붙여지거나, 알파벳으로 구분된 항목을 만든다.
@unnumbered
시리즈 명령은 인쇄물의 body와 그 목차에서 번호가 없는
항목을 만든다. 특별하게 사용되는 @top
명령은 이 시리즈의
하나이다 (see section @top
).
@heading
시리즈 명령은 목차에 나타나지 않는 번호가 없는 heading을
만든다. heading 명령은 절대 새로운 페이지를 시작하게 하지 않는다.
@majorheading
명령은 @chapheading
명령을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내지만, heading 앞에 더 큰 수직 공백을 넣는다.
@setchapternewpage
명령은 @chapter
, @unnumbered
,
그리고 @appendix
명령이 인쇄된 매뉴얼에서 새로운 페이지를
시작하도록 한다; @heading
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여기 chapter 구조 명령의 네개 그룹이 있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op
@top
명령은 Texinfo 파일의 처음에 @node Top
다음에만
사용하는 특별 sectioning 명령이다. @top
명령은
makeinfo
에게 어떤 node가 ‘Top’ node인지 알려준다. @top
명령은 @unnumbered
와 같은 효과가 있다 (see (@appendix
)unnumbered & appendix). 자세한 정보는
The @top
Command.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chapter
@chapter
는 문서의 chapter를 알려준다. 이 명령은 줄이 시작할 때
쓰고, 같은 줄에 그 chapter의 제목을 쓴다.
예를 들어, 이 매뉴얼의 이 chapter의 제목은 “Chapter Structuring”이다;
@chapter
줄은 다음과 같다:
@chapter Chapter Structuring |
TeX에서, @chapter
명령은 문서에 chapter를 만들고, chapter의
제목을 지정한다. chapter는 자동으로 번호가 붙여진다.
Info에서, @chapter
명령은 제목이 한줄에 나오고, 그 밑에
asterisk로 된 밑줄이 그어지게 한다. 즉, Info에서, 위의 예는 다음과 같은
출력을 낸다:
Chapter Structuring ******************* |
또 Texinfo는 @centerchap
명령을 제공한다. 이 명령은
@unnumbered
와 비슷하지만, 그 argument를 인쇄물에서 중앙에
놓는다. 이러한 류의 스타일과 관련된 선택은 보통 Texinfo에서 제공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unnumbered
, @appendix
어떤 종류의 chapter 번호 없이 인쇄물에서 chapter를 만드려면
@unnumbered
명령을 사용한다. @appendix
명령은 숫자
대신에 알파벳이 붙는 appendix를 인쇄된 매뉴얼에서 만들때 쓴다.
Info 파일 출력에서, @unnumbered
와 @appendix
명령은
@chapter
와 동일하다: 제목은 한 줄에 나타나고, asterisk로 된
밑줄이 그어진다. (See section @chapter
.)
부록이나, 번호 없는 chapter를 만드려면, chapter를 만들 때와 마찬가지로
@appendix
혹은 @unnumbered
명령은 줄이 시작할 때 쓰고,
같은 줄에 제목을 쓴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majorheading
, @chapheading
@majorhaeding
과 @chapheading
명령은 chapter와 같은
heading을 문서의 body에 집어 넣는다.
하지만, 어느 명령도 TeX이 번호가 붙여진 heading이나 목차에 항목을 만들게 하지 않는다: 그리고 어느 명령도 TeX이 인쇄된 매뉴얼에서 새로운 페이지를 시작하게 하지 않는다.
TeX에서, @majorheading
명령은 @chapheading
명령보다
heading 앞에 더 큰 수직 공백을 넣는 것외에는 같다.
Info에서, @majorheading
과 @chapheading
명령은
@chapter
와 동일하다: 제목은 한줄에 나타나고, asterisk로 된
밑줄이 그어진다. (See section @chapter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section
인쇄된 매뉴얼에서, @section
명령은 chapter 내의 숫자가 붙여진
section을 표시한다. section 제목은 목차에 나타난다. Info에서,
@section
명령은 문서의 한 부분에 대한 제목을 ‘=’로 밑줄
그어진 채 표시해 준다.
이 section은 @section
명령이 앞에 붙어 있고, Texinfo 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section @code{@@section} |
section을 만드려면, @section
명령을 줄이 시작할 때 쓰고, 같은
줄에 section의 제목을 쓴다.
즉,
@section This is a section |
은 Info에서
This is a section ================= |
와 같이 만들어 준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unnumberedsec
, @appendixsec
, @heading
@unnumberedsec
, @appendixsec
, 그리고 @heading
명령은 각각 번호가 없는, 부록과 같은, 그리고 heading과 같은 동일한
@section
명령이다. (See section @section
.)
@unnumberedsec
@unnumberedsec
명령은 번호가 없는 chapter 내부 혹은 일반적인
chapter 혹은 부록에서 번호없는 section을 만든다.
@appendixsec
@appendixsection
@appendixsection
은 @appendixsec
명령을 더 길게 쓴
것이다: 두 명령은 동의어이다.
전통적으로, @appendixsec
혹은 @appendixsection
명령은
부록 내에서만 쓰인다.
@heading
@heading
명령은 어디서든 목차에 나타나지 않는 section과 같은
heading을 만들고 싶을 때 쓸 수 있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subsection
Commandsubsection과 section의 관계는 section과 chapter의 관계와 같다.
(See section @section
.) Info에서, subsection의 제목은
‘-’로 밑줄이 그어져 있다. 예를 들어,
@subsection This is a subsection |
은 Info에서
This is a subsection -------------------- |
과 같이 표시된다.
인쇄된 매뉴얼에서, subsection은 목차에서 세단계 더 깊은 단계로 번호가 붙여져 열거된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subsection
-like Commands@unnumberedsubsec
, @appendixsubsec
, 그리고
@subheading
명령은 각각 번호없는, 부록과 같은, heading과 같은
것에 해당되는 @subsection
명령이다. (See section @subsection
.)
Info에서, @subsection
과 같은 명령은 hyphen으로 밑줄 그어진
제목을 만든다. 인쇄된 매뉴얼에서, @subheading
명령은
번호가 없고, 목차에 나타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subsection과 같은
heading을 만든다. 비슷하게, @unnumberedsubsec
명령은
subsection과 같은 heading을 만들고, @appendixsubsec
명령은
subsection과 같은 heading을 알파벳과 숫자로 표시된 채 만든다; 이 두 명령
모두 목차에 나타나는 heading을 만든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exinfo에서 네번째이고, 가장 낮은 단계의 sectioning 명령은 ‘subsub’ 명령들이다. 그것은:
@subsubsection
Subsubsection과 subsection의 관계는 subsection과 section의 관계와 같다.
(See section @subsection
.) 인쇄된 매뉴얼에서,
subsubsection 제목은 목차에 나타나고, 네번째 단계로 깊은 단계로 목차에서
번호가 붙여진다.
@unnumberedsubsubsec
번호 없는 subsubsection 제목은 인쇄된 매뉴얼에서 목차에 나타나지만, 번호가 없다. 한편, 번호 없는 subsubsection은 subsubsection과 같다. Info에서, 번호 없는 subsubsection은 보통 subsubsection과 완전히 똑같이 보인다.
@appendixsubsubsec
전통적으로, appendix 명령은 부록에만 쓰이고, 인쇄된 매뉴얼에서 알파벳과 번호가 적절히 붙여진다. 또 목차에도 나타난다. Info에서, appendix subsubsection은 보통 subsubsection과 완전히 똑같이 보인다.
@subsubheading
@subsubheading
명령은 목차에 나타나지 않을 작은 heading을 만들고
싶을 때 어디서든 쓸 수 있다. Info에서, subsubheading은 보통
subsubsection heading과 완전히 똑같이 보인다.
Info에서, ‘subsub’ 제목은 점으로 밑줄이 그어진다. 예를 들어,
@subsubsection This is a subsubsection |
은
This is a subsubsection ....................... |
을 만든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raisesections
and @lowersections
@raisesections
와 @lowersections
명령은 chapter, section,
subsection, 등의 계층적인 단계를 올리거나 내린다.
@raisesections
명령은 section을 chapter로 바꾸고, subsection을
section으로 바꾸고, 다른 것들도 마찬가지로 바꾼다.
@lowersections
명령은 chapter를 section으로 바꾸고, section을
subsection으로 바꾸고, 다른 것들도 마찬가지로 바꾼다.
@lowersection
명령은 또다른 외부 혹은 독립된 파일로 쓰여진
Texinfo 파일을 내부에 포함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파일이 시작할 때 이
명령을 쓰면, 모든 @chapter
명령은 @section
명령을 쓴
것과 같이 format되고, 모든 @section
명령은 @subsection
명령을 쓴 것처럼 format되고, 마찬가지로 다른 것들도 이렇게 format된다.
@raisesections
는 chapter 계층 구조에서 한 단계씩 끌어올린다.
Change To @subsection @section, @section @chapter, @heading @chapheading, etc. |
@lowersections
는 chapter 계층구조에서 한 단계씩 끌어내린다.
Change To @chapter @section, @subsection @subsubsection, @heading @subheading, etc. |
@raisesections
혹은 @lowersections
명령은 Texinfo 파일의
명령을 따르는 structuring 명령만을 바꿀 뿐이다. @raisesections
혹은 @lowersections
명령은 한줄에 단독으로 쓴다.
@lowersections
명령은 @raisesections
명령의 효과를
취소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계층적인 단계를 한단계식 높이거나 내리는 명령을 계속사용하면, 어느정도 시간이 걸린다.
chapter위에서 단계를 올리려고 하면, chapter 명령을 다시 만든다; ‘subsubsection’ 아래에서 단계를 내리려고 하면 subsubsection 명령을 다시 만든다.
[ <<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July 17, 2016 using texi2html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