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7. Menus

menu에는 밑에 있는 node들의 pointer가 들어 있다.(6) Info에서, 이러한 node로 가는데 menu를 사용한다. menu는 인쇄된 매뉴얼에는 아무 영향도 없고, 나타나지도 않는다.

보통, menu를 쓰는 독자는 menu 뒤의 글을 읽지 않기 때문에 menu는 node의 끝에 온다.

menu 앞의 짧은 글은 인쇄된 매뉴얼에서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 이렇게 보이는 것을 막으려면, menu를 node의 시작과 가까이 쓰고, menu 다음에 @node 줄을 쓰고, 그 다음에 @heading 줄을 @ifinfo@end ifinfo 사이에 둔다. 이렇게 menu, @node 줄, 그리고 제목은 인쇄된 매뉴얼에서는 보이지 않고, Info 파일에서만 보인다.

예를 들어, 이 문단 앞의 두개의 문단은 Info에서만 나오는 menu, @node 줄, 그리고 heading 다음에 나온다.

 
@menu
* Menu Location::             Put a menu in a short node.
* Writing a Menu::            What is a menu?
* Menu Parts::                A menu entry has three parts.
* Less Cluttered Menu Entry:: Two part menu entry.
* Menu Example::              Two and three part entries.
* Other Info Files::          How to refer to a different
                                Info file.
@end menu

@node Menu Location, Writing a Menu, , Menus
@ifinfo
@heading Menus Need Short Nodes
@end ifinfo

이 문서의 Texinfo 파일은 이러한 처리를 한 예가 십여개 이상 있다. 그중 한개는 이 장의 시작이다; 또 하나는 “Cross Reference” 장이 시작하는 부분이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7.1 Writing a Menu

menu는 한줄에 단독으로 나오는 @menu 명령과 menu entry 줄과 menu 주석 줄 그리고 한줄에 단독으로 나오는 @end menu 명령으로 끝난다.

menu는 다음과 같다:

 
@menu
Larger Units of Text

* Files::                       All about handling files.
* Multiples: Buffers.           Multiple buffers; editing
                                  several files at once.
@end menu

menu에서, ‘* ’로 시작하는 줄은 모두 menu entry이다. (asterisk 다음에 공백문자가 나오는 것에 주의하자.) ‘* ’로 시작하지 않는 줄은 menu에 나타나지 않는다. 그런 줄은 menu entry가 아니고 Info 파일에 나타나는 menu 주석 줄이다. 위의 예에서, ‘Larger Units of Text’는 menu 주석 줄이다; ‘* ’로 시작하는 두 줄은 menu entry이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7.2 The Parts of a Menu

menu entry는 세개의 부분이 있고, 이중 두번째만이 꼭 필요하다:

  1. menu entry의 이름.
  2. node의 이름 (꼭 필요하다).
  3. 이 항목에 대한 설명.

menu entry의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만든다:

 
* menu-entry-name: node-name.   description

menu entry 다음에 한개의 colon으 ㄹ쓰고, node 이름 다음에 tab, comma, period, 혹은 newline을 쓴다.

Info에서, 사용자는 m (Info-menu) 명령으로 node를 선택한다. menu entry의 이름은 m 명령 다음에 type한다.

menu entry의 세번째 부분은 설명하는 문구나 문장이다. menu entry의 이름과 node 이름은 대부분 짤막하다; 설명은 독자에게 이 node가 무엇게 관한 것인지 설명한다.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이 설명은 두줄 이상에 걸쳐서 나올 수도 있다. 좋은 설명은 node의 이름을 반복해서 설명하는 것보다는 그 이름을 보충해 주는 설명이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7.3 Less Cluttered Menu Entry

menu entry 이름과 node 이름이 같은 경우, 이름을 asteirk 바로 다음에 쓸 수 있고 줄이 시작할 때 공백을 넣고, 이름 다음에 두개의 colon을 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쓰는 대신,

 
* Name: Name.                               description

다음과 같이 쓴다.

 
* Name::                                    description

menu의 시각적인 혼란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가능한한 menu entry 이름으로 node 이름을 써야 한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7.4 A Menu Example

menu는 Texinfo에서 다음과 같다:

 
@menu
* menu entry name: Node name.   A short description.
* Node name::                   This form is preferred.
@end menu

이것은 다음과 같은 menu를 만든다:

 
* menu:

* menu entry name: Node name.   A short description.
* Node name::                   This form is preferred.

다음은 Texinfo 파일에서 볼 수 있는 예이다.

 
@menu
Larger Units of Text

* Files::                       All about handling files.
* Multiples: Buffers.           Multiple buffers; editing
                                  several files at once.
@end menu

이것은 다음과 같은 메뉴를 만든다.

 
* menu:
Larger Units of Text

* Files::                       All about handling files.
* Multiples: Buffers.           Multiple buffers; editing
                                  several files at once.

이 예에서, menu에는 두개의 entry가 있다. ‘Files’는 menu entry의 이름이기도 하고, 그 이름으로 참조되는 node의 이름이기도 하다. ‘Multiples’는 menu entry의 이름이다; 이것은 ‘Buffers’라는 node를 가리킨다. ‘Larger Units of Text’는 주석이다; menu에 나타나기는 하지만, entry는 아니다.

Files’나 ‘Buffers’에는 어떤 파일 이름도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같은 Info 파일의 node 이름이어야 한다. (see section Referring to Other Info Files).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7.5 Referring to Other Info Files

파일 이름을 node 이름 바로 앞에 고라호 안에 적어서 다른 Info 파일의 node로 이동할 수 있도록 menu entry를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세개 부분으로 구성된 menu entry 형식을 사용해서, 독자가 파일 이름을 type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menu
* first-entry-name:(filename)nodename.     description
* second-entry-name:(filename)second-node. description
@end menu

예를 들어, 직접 Emacs Manual의 ‘Outlining’과 ‘Rebinding’ node를 사용하려면, menu를 다음과 같이 쓴다:

 
@menu
* Outlining: (emacs)Outline Mode. The major mode for
                                  editing outlines.
* Rebinding: (emacs)Rebinding.    How to redefine the
                                  meaning of a key.
@end menu

node 이름을 쓰지 않고, 파일 이름만 쓴다면, Info는 ‘Top’ node를 참조하는 거라고 가정한다.

Info의 main menu를 담고 있는 ‘dir’파일은 파일 이름만을 열거한 menu entry가 들어 있다. 이렇게 각 Info 문서의 ‘Top’ node로 직접 갈 수 있게 해 준다. (See section Installing an Info File.)

예를 들어:

 
* Info: (info).         Documentation browsing system.
* Emacs: (emacs).       The extensible, self-documenting
                        text editor.

(Info system의 최상위 목록인 ‘dir’ 파일은 Info 파일이지, Texinfo 파일이 아니다. 하지만, menu entry는 두가지 타입의 파일 모두 똑같이 보인다.)

GNU Emacs Texinfo mode의 menu updating 명령은 현재 buffer 내의 node에 대해서만 동작하기 때문에, 다른 파일을 참조하는 menu를 만들때 이 명령을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menu는 직접 손으로 써야 한다.


[ << ] [ >> ]           [Top] [Contents] [Index]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October 25, 2015 using texi2html 1.82.